통상임금과 평균임금, 단어는 비슷하지만 계산 기준과 포함 항목이 전혀 다릅니다. 특히 퇴직금을 앞둔 직장인이라면 반드시 확인해야 할 중요한 차이! 이 글 하나면 헷갈리지 않습니다.
통상임금과 평균임금, 뭐가 다를까요?
같은 ‘임금’인데도, 계산 기준이 다르면 퇴직금까지 바뀝니다.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들어본 단어죠. ‘통상임금’과 ‘평균임금’ 둘 다 비슷해 보여서 그냥 넘기기 쉬운데요. 퇴직금, 연차수당, 해고수당 같은 민감한 돈 문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개념이에요.
“왜 이런 차이를 알아야 할까요?”
이 질문의 진짜 핵심은 “어떤 기준으로 계산하느냐에 따라 내가 받을 수 있는 퇴직금이 수십만 원에서 많게는 수백만 원까지 달라질 수 있다는 거예요.
통상임금은 ‘약속된 고정급’
비슷해 보여도, 통상임금과 평균임금은 계산 방식도 다르고, 적용되는 상황도 다릅니다. 표로 정리하면 훨씬 이해가 쉬워요.
통상임금 vs 평균임금 비교표
구분 | 통상임금 | 평균임금 |
---|---|---|
의미 | 매달 고정적으로 지급되는 급여 | 실제로 받은 3개월치 임금의 평균 |
포함 항목 | 기본급, 직책수당, 자격수당 등 | 성과급, 상여금, 수당 전반 |
특징 | 계산이 안정적 (변동 없음) | 시기에 따라 유동적 (계산 시점 중요) |
사용 용도 | 연장·야간·휴일수당, 해고예고수당 | 퇴직금, 휴업수당, 실업급여, 산재보상 |
어떤 기준으로 퇴직금이 계산될까요?
퇴직금 계산의 기본 공식은
‘1일 평균임금 × 30일 × 근속연수’인데요,
이때 ‘1일 평균임금’ 자리에 들어가는 금액은 평균임금 vs 통상임금 중 더 높은 금액이 자동으로 적용돼요. 그래서 둘 다 반드시 계산해 보고 비교하는 게 너무 중요해요.
그럼 실제로 계산해 보면 어떤 차이가 생길까요?
같은 조건에서도, 어떤 기준을 적용하느냐에 따라 퇴직금 금액이 달라질 수 있어요. 아래 예시를 보면 그 차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볼게요.
기본급 250만 원에 매달 정기적으로 수당 50만 원을 받는 A 씨
- 통상임금 기준: 이 수당이 모두 포함돼서 퇴직금이 많아져요.
- 평균임금 기준: 수당이 지급되지 않은 달이 있다면 금액이 줄 수 있어요.
아래 표를 보면 차이가 확실하게 보이죠.
평균임금 vs 통상임금 기준 퇴직금 비교
항목 | 금액 | 설명 |
---|---|---|
통상임금 기준 퇴직금 | 9,050,000원 | 정기적으로 받던 수당 포함 → 기준금액이 높아짐 |
평균임금 기준 퇴직금 | 8,420,000원 | 일시적 성과급 포함되지만 시기에 따라 낮아질 수 있음 |
자주 헷갈리는 항목, 이렇게 구분하세요
항목 | 통상임금 포함 여부 | 평균임금 포함 여부 |
---|---|---|
기본급 | ✔ 포함 (고정적으로 지급) | ✔ 포함 |
직책·자격수당 | ✔ 포함 (정기·고정 지급 시) | ✔ 포함 |
식대·교통비 | ❌ 제외 (복리후생 목적일 경우) | ✔ 포함 (지급된 사실 기준) |
정기상여금 | ✔ 포함 (2025년부터 가능) | ✔ 포함 |
성과급 | ❌ 제외 (성과 조건 붙음) | ✔ 포함 (실제 지급된 금액이면 포함) |
수당의 포함 여부는 회사의 규정이나 지급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 실제 명세서와 취업규칙을 꼭 함께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이런 분들은 꼭 체크하세요
- 퇴사를 앞두고 있는 직장인
- 최근 3개월 사이 수당·상여금이 많았던 분
- 연차를 잘 안 쓰고 수당으로 받는 분
- 식대, 직책수당 등이 월급명세서에 있는 분
이런 분들은 평균임금 기준이 유리할 수 있어요. 하지만 실제로 계산해보지 않으면 절대 알 수 없으니 반드시 계산해 보시길 권유드려요.
통상임금 vs 평균임금 정리 요약
구분 | 기준 | 특징 |
---|---|---|
통상임금 | 매달 고정적으로 지급되는 항목 기준 | 계산이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 |
평균임금 | 최근 3개월간 실제 받은 금액 기준 | 성과급·수당 포함 → 시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
퇴직금 | 두 기준 중 더 높은 금액으로 자동 적용 | 두 금액을 모두 비교해보는 것이 확실합니다 |
통상임금과 평균임금은 단순한 숫자의 문제가 아니에요. 내가 얼마나 손해 안 보고 퇴직할 수 있는지를 좌우하는 중요한 기준입니다. 글 하나로 끝내지 마세요. 지금 내 월급명세서를 꺼내서, 통상임금과 평균임금이 어떻게 나올지 직접 비교해 보세요. 그게 가장 빠르고 정확한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