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통상임금과 평균임금 차이 완전정리|퇴직금, 이걸로 갈립니다

by 날아라정보통 2025. 4. 15.

통상임금과 평균임금, 단어는 비슷하지만 계산 기준과 포함 항목이 전혀 다릅니다. 특히 퇴직금을 앞둔 직장인이라면 반드시 확인해야 할 중요한 차이! 이 글 하나면 헷갈리지 않습니다.

 

통상임금과 평균임금 차이|퇴직금 계산, 기준이 달라지면 금액도 바뀝니다 썸네일
통상임금과 평균임금 차이|퇴직금 계산, 기준이 달라지면 금액도 바뀝니다

 

 

통상임금과 평균임금, 뭐가 다를까요?

같은 ‘임금’인데도, 계산 기준이 다르면 퇴직금까지 바뀝니다.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들어본 단어죠. ‘통상임금’과 ‘평균임금’ 둘 다 비슷해 보여서 그냥 넘기기 쉬운데요. 퇴직금, 연차수당, 해고수당 같은 민감한 돈 문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개념이에요.

 

“왜 이런 차이를 알아야 할까요?”

이 질문의 진짜 핵심은 “어떤 기준으로 계산하느냐에 따라 내가 받을 수 있는 퇴직금이 수십만 원에서 많게는 수백만 원까지 달라질 수 있다는 거예요.

 

 

 통상임금은 ‘약속된 고정급’

비슷해 보여도, 통상임금과 평균임금은 계산 방식도 다르고, 적용되는 상황도 다릅니다. 표로 정리하면 훨씬 이해가 쉬워요.

 

 

통상임금 vs 평균임금 비교표

구분 통상임금 평균임금
의미 매달 고정적으로 지급되는 급여 실제로 받은 3개월치 임금의 평균
포함 항목 기본급, 직책수당, 자격수당 등 성과급, 상여금, 수당 전반
특징 계산이 안정적 (변동 없음) 시기에 따라 유동적 (계산 시점 중요)
사용 용도 연장·야간·휴일수당, 해고예고수당 퇴직금, 휴업수당, 실업급여, 산재보상

 

 

어떤 기준으로 퇴직금이 계산될까요?

퇴직금 계산의 기본 공식은

‘1일 평균임금 × 30일 × 근속연수’인데요,

 

이때 ‘1일 평균임금’ 자리에 들어가는 금액은 평균임금 vs 통상임금 중 더 높은 금액이 자동으로 적용돼요. 그래서 둘 다 반드시 계산해 보고 비교하는 게 너무 중요해요.

 

그럼 실제로 계산해 보면 어떤 차이가 생길까요?

퇴직금 계산의 기본 공식 ‘1일 평균임금 × 30일 × 근속연수’
퇴직금 계산의 기본 공식 ‘1일 평균임금 × 30일 × 근속연수’

 

같은 조건에서도, 어떤 기준을 적용하느냐에 따라 퇴직금 금액이 달라질 수 있어요. 아래 예시를 보면 그 차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볼게요.

기본급 250만 원에 매달 정기적으로 수당 50만 원을 받는 A 씨

  • 통상임금 기준: 이 수당이 모두 포함돼서 퇴직금이 많아져요.
  • 평균임금 기준: 수당이 지급되지 않은 달이 있다면 금액이 줄 수 있어요.

아래 표를 보면 차이가 확실하게 보이죠.

 

평균임금 vs 통상임금 기준 퇴직금 비교

항목 금액 설명
통상임금 기준 퇴직금 9,050,000원 정기적으로 받던 수당 포함 → 기준금액이 높아짐
평균임금 기준 퇴직금 8,420,000원 일시적 성과급 포함되지만 시기에 따라 낮아질 수 있음

 

 

자주 헷갈리는 항목, 이렇게 구분하세요

항목 통상임금 포함 여부 평균임금 포함 여부
기본급 ✔ 포함 (고정적으로 지급) ✔ 포함
직책·자격수당 ✔ 포함 (정기·고정 지급 시) ✔ 포함
식대·교통비 ❌ 제외 (복리후생 목적일 경우) ✔ 포함 (지급된 사실 기준)
정기상여금 ✔ 포함 (2025년부터 가능) ✔ 포함
성과급 ❌ 제외 (성과 조건 붙음) ✔ 포함 (실제 지급된 금액이면 포함)

 

수당의 포함 여부는 회사의 규정이나 지급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 실제 명세서와 취업규칙을 꼭 함께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이런 분들은 꼭 체크하세요

  • 퇴사를 앞두고 있는 직장인
  • 최근 3개월 사이 수당·상여금이 많았던 분
  • 연차를 잘 안 쓰고 수당으로 받는 분
  • 식대, 직책수당 등이 월급명세서에 있는 분

이런 분들은 평균임금 기준이 유리할 수 있어요. 하지만 실제로 계산해보지 않으면 절대 알 수 없으니 반드시 계산해 보시길 권유드려요.

 

통상임금 vs 평균임금 정리 요약

구분 기준 특징
통상임금 매달 고정적으로 지급되는 항목 기준 계산이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
평균임금 최근 3개월간 실제 받은 금액 기준 성과급·수당 포함 → 시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퇴직금 두 기준 중 더 높은 금액으로 자동 적용 두 금액을 모두 비교해보는 것이 확실합니다

통상임금과 평균임금은 단순한 숫자의 문제가 아니에요. 내가 얼마나 손해 안 보고 퇴직할 수 있는지를 좌우하는 중요한 기준입니다. 글 하나로 끝내지 마세요. 지금 내 월급명세서를 꺼내서, 통상임금과 평균임금이 어떻게 나올지 직접 비교해 보세요. 그게 가장 빠르고 정확한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