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휴수당 뜻부터 계산법까지|근무시간 따라 최대 월 20만원 차이

by 날아라정보통 2025. 4. 4.

주휴수당, 아직도 모르셨다면? 하루 3시간, 5시간 알바도 지급 대상일 수 있습니다. 근무시간별 실사례와 계산법까지 5분 만에 정리해 드립니다.

 

 

잠깐만요.

일은 내가 했는데, 하루치 돈은 못 받았다고요?

“시급 9,860원인데 왜 월급이 생각보다 적지?”

“계산해 보면 어딘가 빠진 것 같은데…” 혹시, ‘주휴수당’ 모르셨던 건 아니죠?

 

이건 보너스가 아니라, 일한 사람에게 당연히 지급해야 하는 법정 수당이에요. 모르면 놓치는 돈, 아는 순간부터 당신 시급이 달라집니다.

 

주휴수당이 뭐냐면요

주휴수당은요, “일주일 내내 성실하게 일한 사람한테 하루치 시급을 보너스로 더 주는 법적 수당”이에요.

쉽게 말해, 하루 4시간씩 주 5일 아르바이트했다? 그럼 주말 하루치 급여도 줘야 돼요.

안 주면? → 법 위반이에요.

 

주휴수당과 아르바이트비는 ‘따로’입니다

많은 분들이 “주급에 포함된 거 아닌가요?”라고 오해하시는데요, 주휴수당은 아르바이트비에 ‘추가로’ 지급해야 하는 별도 수당입니다.

 

예를 들어,

  • 시급 10,000원으로 하루 5시간 × 주 5일 알바를 하면 주급은 25만 원
  • 여기에 ‘주휴수당’으로 하루치 시급 × 5시간 = 5만 원을 더 받아야 정상이죠.

시급 × 근무시간만 계산하면, 주휴수당은 자동 포함되지 않습니다. 계약서에 ‘주휴 포함’ 명시가 없다면, 별도로 반드시 지급되어야 해요.

 

주휴수당 지급 조건

주휴수당 받을 수 있는 조건 정리표. 주 15시간 이상 근무, 개근 여부, 알바·일용직 여부, 사업장 인원수, 근로계약서 유무 등을 기준으로 주휴수당 지급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음. 모든 조건 충족 시 주휴수당 받을 수 있음.

 

계약서 없어도, 계좌이체, 근무내역 등만 있으면 인정됩니다.

 

주휴수당 계산법 & 실제 예시로 보기

예를 들어서, 시급이 10,000원이고 하루 5시간 일했어요.

  • 10,000 × 5시간 = 50,000원 (주휴수당)
  • 원래 받던 주급에 이게 그냥 얹어지는 거예요.

그러니까 이걸 모르면

  • 매주 5만 원 손해
  • 한 달이면 20만 원 넘게 놓치는 거예요.

 

주휴수당 못 받는 경우

주휴수당 지급 불가한 사례 표. 결근, 주 15시간 미만 근무, 프리랜서 계약은 주휴수당 제외 사유이며, 근로계약서가 없어도 증빙만 있다면 주휴수당 지급 가능."
주휴수당 못받는경우

 

주휴수당 미지급 대응법

주휴수당은 아는 사람만 받는 돈이 아니라. 법으로 정해져 있는 급여입니다.

근데 이걸 사업장에서

  •  “시급에 포함돼 있어요~”
  •  “우리 여긴 안 줘요~”

라고 넘긴다? 그건 말이 안 돼요. 필요하면 노동부 진정도 가능해요.

당신 시급이 정말 9,860원인지, 아니면 사실상 11,000원이었는지 확인해 보셨나요?

✅ 시급 × 근무시간만 계산하던 시대는 끝났어요.

✅ 주휴수당 포함 시급 계산기로 지금 바로 확인해 보세요.

 

“계산기로도 계산이 안 맞는다고요?”

이유는 ‘근무시간’이 아니라 ‘근무일수 기준’으로 계산해야 하기 때문이에요.

예시로 한 번만 보면 바로 이해돼요.

👉 주휴수당 계산법 완전정리|근무시간별 실사례 포함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