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휴수당 계산, 근무시간마다 다르게 적용된다는 거 아셨나요? 하루 3시간, 5시간, 요일마다 다른 근무까지 예시로 정리했습니다. 2025년 기준 가장 쉬운 계산 가이드
주휴수당 계산, 왜 이렇게 헷갈릴까요?
“하루 5시간 아르바이트했는데 주휴수당은 왜 2시간만 줘요?”
“월·수·금 출근했는데도 주휴수당 나온다고요?”
“나는 하루씩 다 다른 시간인데… 계산은 어떻게 하지?”
이 질문, 사실 다 맞는 말이에요. 공식은 하나인데, 적용은 각자 다르기 때문입니다.
복잡하게 느껴지는 이유는,
- 내가 근무한 시간
- 회사 기준 근무일수
- 시급
이 세 가지가 미묘하게 달라지기 때문이에요.
주휴수당 지급 조건
주휴수당 계산하기 전에 우선 아래 5가지 지급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알바든 일용직이든, 근로계약서 없어도 괜찮습니다.
주휴수당 계산법, 복잡하게 외우지 마세요
핵심 원리 하나만 기억하세요.
“내 주간 총 근무시간 ÷ 일반직원 주근무일수 = 주휴 시간”
이 공식, 모르면 매주 수만 원 손해입니다. 지금 시급에만 신경 쓰고 있다면, 중요한 걸 놓치고 계신 거예요.
✅ 예시1 – 카페 알바 A 씨 (하루 4시간, 주 5일 근무)
A 씨는 오전 9시부터 1시까지,
하루 4시간씩 월~금 카페 알바를 합니다.
- 주 5일 개근 → 총 주간 근무시간: 20시간
- 사업장 일반직원도 주 5일 근무
👉 20 ÷ 5 = 4시간 주휴 발생
👉 시급 10,000원 × 4시간 = 40,000원 추가 수당
몰랐다면 한 달에 16만 원 손해 볼 수도 있어요.
✅ 예시2 – 편의점 알바 B 씨 (근무시간 요일마다 다름)
B 씨는 월~수는 5시간, 목~금은 8시간씩 일합니다.
주 5일 근무는 맞지만, 요일마다 시간이 다릅니다.
- 월~수(5시간 × 3일) = 15시간
- 목~금(8시간 × 2일) = 16시간
👉 주휴 계산 기준: 31 ÷ 5 = 6.2시간
👉 시급 10,000원 × 6.2시간 = 62,000원 추가 수당
시급만 보면 안 돼요. 근무 시간 배분이 달라도 주휴는 발생합니다.
✅ 예시3 – 요양보호사 C 씨 (하루 3시간 × 주 5일)
C 씨는 어르신 가정 방문 요양보호사로 오전 3시간씩 주 5일 일하고 있어요.
정규직은 아니지만, 계약은 정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총 주간 근무시간: 3시간 × 5일 = 15시간 주휴 조건충족
👉 15 ÷ 5 = 3시간 주휴 발생
👉 시급 9,860원 × 3 = 약 29,580원 추가 수당
많은 요양, 청소, 교육 보조직 근무자분들이 이 수당을 모르고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휴수당 이렇게 계산하면 손해 봐요.
주휴수당 계산할 때 실제로 가장 많이 하는 실수 3가지를 보기 편하게 표로 작성해 보았으니 아래에서 확인해 보세요.
❌ 자주 하는 실수 | 😰 왜 틀렸을까요? |
---|---|
“주 5일 나갔으니 하루치 시급 줘야죠?” | 출근일이 아니라 총 근무시간이 기준입니다. 주 15시간 안 넘으면 주휴수당 안 나와요! |
“하루 일찍 퇴근했으니까 주휴수당은 없죠?” | 아닙니다. 계약서에 명시된 근무시간이 기준이에요. 실제 퇴근 시간은 상관없을 수도 있어요. |
“계산기 써봤는데 금액이 이상해요” | 우리 회사 기준 ‘정규직 근로자 주근무일수’로 나눠야 하는데, 그걸 반영 안 했을 가능성이 높아요. |
시급에 주휴수당 포함됐다는 말, 그냥 넘기지 마세요.
계약서에 따로 표기돼 있어야 법적 효력이 생깁니다.
주휴수당 계산기보다 중요한 건 ‘근무 패턴’ 파악이에요
요즘 자동 계산기 많지만, 입력값이 정확하지 않으면 잘못 계산돼요.
- 내 계약서에 주간 근무시간이 어떻게 되어있는지
- 일반직원은 주 며칠 일하는 구조인지
- 하루하루 실제 몇 시간 일했는지 → 이걸 정확히 알아야 계산도 맞습니다.
TIP: 엑셀보다 중요한 건, ‘내 근무 내역’ 직접 기록하는 습관이에요.
계산이 아직도 헷갈리신다면?
고용노동부에서 제공하는 공식 '임금 계산기'를 활용해 보세요.
👉 근무시간, 시급만 입력하면 주휴수당이 포함된 예상 월급까지 자동 계산해 주는 도구입니다.
불필요한 걱정 없이, 법정 수당이 잘 반영되고 있는지도 쉽게 확인할 수 있어요.
📎 고용노동부 임금 계산기 바로가기
https://www.moel.go.kr/miniWageMain.do
정부기관에서 운영하는 공식 페이지이니, 믿고 사용하셔도 좋습니다.
헷갈릴 땐, 내 계산이 맞는지 여기서 한 번 체크해보세요!